노인유치원, 즉 노인주간보호센터(노치원) 비용은 장기요양보험 등급, 이용 시간 및 횟수, 그리고 식비 등 비급여 항목에 따라 달라집니다.
주요
비용 구조
-
장기요양보험 등급에 따른 본인부담금
-
국가에서 비용의 85%를 지원하며, 본인(가족)은 15%만 부담합니다.
-
예를 들어, 2022년 기준 3등급 어르신이 하루 3시간 이상, 월 21회 이용 시 하루 본인부담금은 4,737원이며, 한 달이면 약 99,477원입니다.
-
등급이 높을수록(1등급이 가장 높음) 본인부담금이 약간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.
-
기초생활수급자나 감경 대상자는 본인부담금이 추가로 감면 또는 면제됩니다.
-
-
이용 시간 및 횟수에 따른 비용 차이
-
하루 3시간, 6시간, 8시간, 10시간, 13시간 이상 등으로 구분되어 본인부담금이 달라집니다.
-
예를 들어, 8시간 이상 이용 시 3등급 기준 하루 본인부담금은 7,904원(2022년 기준)입니다.
-
월 15일 이상(1일 8시간 이상) 이용 시 급여 한도액이 20% 증액될 수 있습니다.
-
-
비급여 항목(식비, 간식비 등)
-
식사, 간식 등은 비급여로 본인 부담이 필요합니다.
-
식비는 센터마다 다르지만, 한 끼 2,000~4,000원 정도가 일반적이며, 하루 두 끼(아침, 점심)를 제공하는 곳도 많습니다.
-
예를 들어, 한 끼 3,000원 기준으로 월 22일 이용 시 식비만 66,000원(하루 한 끼) 또는 132,000원(하루 두 끼)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
요약 표 (예시, 2022년 기준)
등급 | 하루 3시간 이상 본인부담금 | 하루 8시간 이상 본인부담금 |
---|---|---|
1등급 | 5,543원 | 9,240원 |
2등급 | 5,132원 | 8,561원 |
3등급 | 4,737원 | 7,904원 |
4등급 | 4,521원 | 7,688원 |
5등급 | 4,305원 | 7,469원 |
최신(2025년) 기준으로는 수가가 소폭 인상되었으니, 실제 신청 시 최신 수가를 확인해야 합니다.
기타 참고사항
-
감경 및 면제
-
건강보험료 감경률 40% 대상자는 본인부담금의 9%, 감경률 60% 대상자는 6%만 부담합니다.
-
기초생활수급자는 본인부담금이 전액 면제됩니다.
-
-
이용 한도
-
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월 한도액 내에서 이용이 가능하며, 남은 한도로 방문요양, 방문간호 등 다른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.
-
결론
노인유치원(노인주간보호센터) 비용은 본인부담금(하루 4,000~9,000원 수준)과 식비(하루 4,000~8,000원 내외)가 대표적이며, 등급과 이용 시간, 감경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. 기초생활수급자나 감경 대상자는 추가로 부담이 줄어듭니다
노인유치원(노인주간보호센터, 노치원) 비용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결정됩니다.
비용 결정 기준
-
장기요양등급
-
어르신이 받은 장기요양등급(1~6등급, 인지지원 등급 포함)에 따라 국가에서 지원하는 급여 금액과 본인부담금이 달라집니다. 등급이 높을수록(1등급이 가장 높음) 본인부담금이 약간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.
-
-
이용 시간
-
하루 이용 시간(3시간 이상, 6시간 이상, 8시간 이상, 10시간 이상, 13시간 초과 등)에 따라 본인부담금이 차등 적용됩니다. 이용 시간이 길수록 비용이 올라갑니다.
-
-
이용 일수
-
한 달에 이용하는 일수에 따라 총 비용이 달라집니다. 예를 들어, 월 21일 이용과 월 26일 이용은 총 비용이 다릅니다.
-
-
비급여 항목
-
식사, 간식 등은 비급여로 본인 부담이 필요합니다. 이 부분은 센터마다 다르나, 일반적으로 한 끼 2,000~4,000원 정도입니다
-
-
감경 및 면제
-
건강보험료 감경률 40% 대상자는 본인부담금의 9%, 감경률 60% 대상자는 6%만 부담합니다. 기초생활수급자는 본인부담금이 전액 면제됩니다.
-
-
특별 가산
-
월 15일(1일 8시간 이상) 이상 이용 시 급여 한도액이 20% 증액될 수 있습니다. 또한, 야간(18시~22시) 이용 시 급여 비용의 20% 가산, 공휴일·일요일 이용 시 30% 가산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.
-
비용 산정 예시
-
**국가지원금(85%)**과 **본인부담금(15%)**로 구성됩니다. 예를 들어, 3등급 어르신이 하루 3시간 이상, 월 21회 이용 시 하루 본인부담금은 약 4,700원 수준입니다.
-
식비, 간식비는 별도로 본인 부담입니다. 한 끼 3,000원 기준으로 월 22일 이용 시 식비만 66,000원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.
-
총 비용은 본인부담금과 식비를 합산한 금액입니다.
-
요약
노인유치원 비용은 장기요양등급, 이용 시간, 이용 일수, 비급여 항목(식비 등), 감경 및 면제 여부, 그리고 특별 가산(야간·공휴일 이용 등)에 따라 결정됩니다. 본인부담금은 국가지원금의 15% 수준이며, 식비 등은 별도로 부담해야 합니다
4등급 기준 노인유치원(노인주간보호센터) 하루 비용은 이용 시간에 따라 다르며, 2025년 기준 본인부담금(15%)은 아래와 같습니다:
이용 시간 |
1일 급여비용 |
본인부담(15%) |
---|---|---|
3시간 이상 |
33,160원 |
4,974원 |
6시간 이상 |
45,000원 |
6,750원 |
8시간 이상 |
56,380원 |
8,457원 |
10시간 이상 |
62,290원 |
9,344원 |
13시간 이상 |
66,930원 |
10,040원 |
식비 등 비급여 항목(예: 점심, 저녁, 간식)은 별도로 부담해야 하며, 센터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하루 5,000~8,000원 정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.
요약:
4등급 어르신이 하루 8시간 이용 시, 본인부담금은 8,457원이며, 식비 등 비급여 항목(예: 5,000원)까지 합치면 하루 약 13,000~16,000원 정도가 됩니다.이용 시간에 따라 하루 비용은 위 표를 참고하면 됩니다.
정부의 장기요양보험 지원 덕분에 노인유치원(노인주간보호센터) 비용은 대폭 절감됩니다. 장기요양보험에 등급이 인정된 어르신의 경우, 이용 비용의 약 85%를 정부가 지원하고, 본인(가족)은 15%만 부담하면 됩니다.
예를 들어, 4등급 어르신이 하루 8시간 이상 이용할 경우, 하루 이용비용이 약 56,380원(2025년 기준)이라면, 본인부담금은 약 8,457원(15%) 수준입니다. 만약 비보험 적용 시에는 하루 56,380원을 전액 부담해야 하지만, 정부 지원을 받으면 하루 8,457원만 내면 되므로 약 6배 이상 절감되는 셈입니다
또한,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은 본인부담금이 추가로 면제 또는 대폭 감면되어, 사실상 무료 또는 매우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요약하면, 정부 지원으로 노인유치원 비용은 약 85% 절감되며, 조건에 따라 더 많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.
식사비(식비와 간식비 등)를 포함한 노인유치원(노인주간보호센터) 전체 하루 비용을 4등급 기준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-
본인부담금(8시간 이상, 2025년 기준):
-
4등급: 하루 8,457원
-
-
식비 및 간식비:
-
식사 1회 평균: 2,000~3,000원
-
간식 1회 평균: 500~1,500원, 하루 2회 제공 시 1,000~3,000원
-
하루 식비·간식비 합계: 약 3,000~6,000원(센터마다 다르지만, 보통 하루 2끼 식사와 간식 2회 제공 시 5,000~8,000원까지도 산정됨)
-
실제로 많은 센터에서는 하루 2끼(아침·점심) 식사와 간식 2회 제공 시, 식비·간식비가 하루 5,000~8,000원 수준입니다.
예시 계산 (8시간 이용, 식비 포함)
구분 |
금액(원) |
---|---|
본인부담금 |
8,457 |
식비·간식비 |
5,000~8,000 |
합계 |
13,457~16,457 |
즉, 4등급 어르신이 하루 8시간 이용 시 식사비 포함 전체 비용은 약
13,500~16,500원 수준입니다.
노인유치원(노인주간보호센터) 선택 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점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.
-
가격은 전국적으로 동일
-
정부 보조(장기요양보험)와 본인부담금으로 구성되어 있어, 전국 어디서나 가격이 동일합니다. 가격이 다른 곳은 불법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.
-
-
직원 인력과 전문성
-
일하는 인력이 충분한지, 어르신을 돌보는 데 필요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 인력이 부족하면 돌봄의 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.
-
-
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여부
-
신체 활동, 인지활동, 재활, 레크리에이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프로그램이 풍부할수록 어르신의 삶의 질이 높아집니다.
-
-
시설의 안전과 위생
-
시설이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, 특히 노인들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인지 점검해야 합니다. 최근에는 감염병 예방도 중요한 고려 요소입니다.
-
-
보호자와의 소통
-
센터와 보호자 간의 소통이 원활한지 확인하세요. 어르신의 상태나 특이사항을 상시 공유하고,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는지가 중요합니다.
-
-
이용 후기 및 평판
-
실제 이용자나 보호자의 후기를 참고하면 센터의 분위기와 서비스 품질을 더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.
-
-
이용 등급 및 대상
-
장기요양등급이 있어야 이용할 수 있으니, 본인이나 보호자가 해당 등급을 받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-
-
위치 및 접근성
-
집에서 가까운 곳인지, 셔틀버스 등 이동 서비스가 제공되는지도 중요한 선택 기준입니다.
-
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비교·검토하여 어르신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센터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